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385)
육아에 지친 부모들 (Parenting-weary Parents) 육아에 지친 부모들Parenting-weary Parents술, 담배, 마약과 같이 소셜 미디어도 중독성으로 호주 총리가 연령 제한에 나섰다고 보도되었다. 육아의 고통에서 벗어났다 싶으면 아이들은 10대 사춘기가 되어 소셜 미디어로 정신 건강 문제를 일으켜 부모 애를 먹인다. 부모는 '독박, 피박, 양박'을 넘어 '대박'으로 치닫는다. 소셜 미디어는 양면의 날이 된다.현대 생활에서는 육아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져 위기에 봉착한 부모도 많다. 미국 공중위생국장(U.S. Surgeon General) '비벡 머시(Vivek Murthy)' 박사는 3대가 같이 살며 4살, 5살 아이 육아 중이다. 누구보다 더 잘 아는 형편이라며 육아 중인 부모의 정신 건강에 대해 포괄적 지원을 해야 한다며 촉구했다. 압박감과 ..
공평한 미래 5 (Robot Slaves or Slaves of Robot) 공평한 미래 5Robot Slaves or Slaves of Robot인간이란 막대기로 휘저을 수 있는 한 컵의 물 같은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다. 사람의 두뇌가 만들어 내는 것에 사람이 굴종을 하거나, 인간의 고귀함이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나도 믿으면서 경악하는 인간의 눈으로 미래를 본다. 이 모든 호기심은 신의 눈동자 안에 들어 있는 아주 조그만 현상에 관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게 된다.인간 시장도 과한데 로봇의 노예$100에 11~13세짜리 성매매를 하는 아이티의 아이들이 있고 인신매매 거래가 이뤄지는 거리에서 서성이면 중개인이 "사람 구하세요?"라며 다가오고 일사천리로 흥정이 이뤄진다. "1817년 이래 노예를 금지하는 수많은 국제협약과 법률이 만들어졌지만 현..
끊임없이 압도 당하는 관리자 2 (How to overcome stress) 끊임없이 압도 당하는 관리자 2How to overcome stress끊임없이 압도당하는 관리자 어떻게 극복해야 하나? 리더십 개발 회사 'Next Step Partners'의 공동 창업자 겸 임원 코치인 '레베카 주커(Rebecca Zucker)'는 5가지 전략이다.■ 압도당하는 주원인을 파악한다. 지금 느끼는 스트레스의 80%를 해소할 수 있는 한두 가지 일은 무엇인가? 실제로 책임이 있고 제거할 수는 없는 항목도 있지만, 중요한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거의 끝난 큰 프로젝트라면 빨리 마무리한다. 엄청난 작업/프로젝트에 압도당하는 경우, 관리하기 쉬운 구성 요소로 나누어, 추가 자원을 요청하거나, 가능하다면 마감일을 재협상한다.■ 시간과 업무량을 명확히 정한다.주어진 업무/작업, 프로젝트에..
공평한 미래 4 (A Villiage of 100) 공평한 미래 4A Villiage of 100세계가 만일 100명이 사는 마을이라면세계화와 환경 문제에 대한 거대한 주제를 어떻게 하면 일반인도 쉽게 인식할 수 있을지 고민하던 '도넬라 메도스(Donnella H. Medows)' 박사는 1985년부터 ‘지구마을”이란 칼럼을 썼다. 1990년, 세계 인구를 1000으로 가정하여 성별, 나이, 종교, 식량. 부, 에너지와 물 배분 등의 문제를 담백하게 정리하여 ‘마을 현황 보고 - 세계가 만일 1000명의 마을이라면(If the World Were a Village of 1000 People)’을 발표했다. '디트머스(Dartmouth) 대학 교수였지만, 유기농업, 시스템 분석에도 능한, 칼럼니스트이자 환경 운동가였다. 2001년 2월, 세상을 떠나기 전 ..
끊임없이 압도 당하는 관리자 1 (Overwhelmed Stress) 끊이없이 압도 당하는 관리자 1 Overwhelmed Stress직장 생활은 점점 더 까다로워진다. 끝없이 복잡한 과제들이 고속 주행한다. 개인/가족의 요구 사항까지 더해지면 압도당한다. 하버드 대학 '로버트 케건(Robert Kegan), 리사 라헤이(Lisa Lahey)' 교수는 공저 '변화면역(Immunity to Change)'에서 현대 생활의 복잡성 증가에 많은 사람이 힘들게 느낀다고 말한다. 세상이 복잡해질수록 우리의 '정신적 복잡성(Complexity of Mind))'이나 그 수위를 조절하는 능력이 높아질 수 있다고 제언한다. 얼마나 똑똑한지와는 상관없이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대응하는지가 관건이다.일반적으로 업무량이 늘어나면 한 발치 물러나 살펴보고 새로운 방식을 찾기보다는 더 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