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387)
구라도 현실이 되는 미래 3 (Black Swan) 구라도 현실이 되는 미래 3Black Swan 과거도 과거가 있다흔히 과거의 사실들을 취하여 미래를 예측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는 마치 자동차 백미러를 통해 전방을 보려는 어리석은 일이다. 한때 일기예보는 일기 중계라고 비아냥거림을 받았다. 장마 패턴이 예전 같지 않다. 장마 후 예상치 못했던 지역성 호우 기습으로 많은 수해를 입었다. 같은 도시에서 서로 통화하면서 다른 하늘을 본다. 기상청이 열받았다. 253억 원을 들여 '오창산업단지' 내에 약 7천 평 부지에 3층짜리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를 구축한다고 2008년 6월 25일 발표했었다. 2009년 10월이면 세계 2위, 영국 기상청 '예보생산모델'을 이식하여 가동하게 된다. 7만 5천 명이 계산기로 1년 동안 계산하는 양을 1초에 해내는(200T..
바른 부모 노릇 (Good Parenthood) 바른 부모 노릇Good Parenthood다 잘되라고 하는 짓이라고? 어린아이의 마음은 흰 백지와 같다. '존 메디나(John Medina)' 박사는 저서 '두뇌의 법칙(Brain Rules)'에서 "세상에서 아이 두뇌 발달에 가장 뛰어난 기술은 빈 상자나 크레용 한 통으로 2시간 놀도록 하는 것이다. 최악은 TV나 스마트폰이다. 장난감보다 더 좋은 것은 엄마, 아빠의 얼굴을 한 번 더 보여주는 것이다"라고 조언한다. 이런 진실은 수도 없이 과학 잡지에 게재되어 있다. 잘 알지만, 그렇게 하지 않는다. 나도 역시 빨리 어른이 되고 싶었다. 무엇이든 마음대로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생각보다 빨리 어른 되었다. 어른이 되자마자 어린 시절을 동경하게 되었다. 어린이를 보면서 위로를 받는다.뇌는 3세까지 70..
세계평화지수 (Global Peace Index) 세계평화지수Global Peace Index 국제적 독립 싱크탱크인 경제평화연구소(IEP)는 세계 인구 99.7%에 해당하는 163개국의 사회적 회복력 수준을 측정했다. '적극적 평화'는 평화로운 사회를 만들고 유지하는 태도, 제도, 구조로 설명된다. '적극적평화지수(PPI)' 산출을 위해 폭력적 갈등, 탄력성, 평화 동인 등에 대한 현재 생각과 24,700개 이상 다양한 데이터 시리즈 지수와 태도 조사 변수를 분석했다. 그 결과 관련 요소를 8부분 나눈 새로운 분류가 2022년 탄생했다. 평화를 "폭력의 부재 또는 폭력에 대한 두려움"으로 정의하는 세계평화지수(GPI, Global Peace Index)로 측정한 평화와 상관관계가 가장 깊은 데이터 세트에서 파생되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비교할 수 ..
구라도 현실이 되는 미래 2 (Black Swan) 구라도 현실이 되는 미래 2Black Swan일찍이 인간은 하늘의 수많은 별자리의 패턴을 찾아내고 이름을 지었다. 혼돈 속에서도 규칙을 찾아내는 전문가도 있다.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은 대부분은 아주 오래된 것들이다. 원, 사각형, 삼각형 등 도형에 관한 수학은 2천 년 전에 '유클리드'가 만들었다. 1970년대에 와서 자기 유사성을 가지는 기하학 구조인 프랙탈(Fractal)이란 개념이 만들어졌다. 자기유사성이란? 예로 나뭇가지들이 일정 비율이 되는 지점에서 갈라진다는 규칙하에서는, 가지의 어느 부분을 선택해 확대해도 전체 나무 모양과 같은 모양을 얻을 수 있다. 프랙탈 구조의 예는 무수히 많다. 허파의 동맥이 갈라져서 실핏줄을 이루는 구조도 그렇다. 기관지, 뉴런, 심장 등의 신체 구조는 물론이요, 고..
썩은 물과 성장 (Rotten Water & Growth) 썩은 물과 성장Rotten Water & Growth 물가에 서 있는 나무같이 흔들리지 말자고 작심을 해 놓고도, 잔바람에 가지가 흔들리면 영 개운치 않다. 나에게 이상적인 환경은 사실 시중에 없다. 꼼꼼히 따져 마음에 드는 노래와 사람을 추려도 시간이 지나면 마음에 안 차거나 뒷전으로 밀리는 목록이 생긴다. 직원이나 거래서도 이렇게 제하고 빼고 나면 남는 것 없다. 게다가 하는 짓마다 눈에 성가신 것도 모자라 이런저런 저주를 퍼붓는다. 심지어 사적인 것까지 들추며 비난하고 모욕을 준다면 화가 치밀어오르게 된다. 인분은 토양을 비옥하게 하고, 분뇨는 혈전용해제로 재탄생하여 사람을 살린다. 추수 끝나 탈탈 털린 볏짚은 가축의 먹이가 된다. 내 성에 안 찬다고 내치고, 가랑비에 젖는다고 신경 쓰여 피해만 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