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210)
모든 사람은 교육받을 권리를 가진다 어떤 사람들은 시스젠더 남성이 화장하고 치마입고 나타나서 나도 트레스젠더 여성이니 입학을 하게 해 달라. 라고 할 위험이 있다며 반대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여성이 아닌 남성이, 남성으로서 살아갈 자신의 시간들을 일부러 트레스젠더인척 하며 몇년간이나 대학을 다니고 여성으로 졸업장을 받으려고 하는 일이 생길 가능성이 얼마나 있을까요. 트레스젠더가 아닌 사람이 트레스젠더인척 할수 있다는 상상속 위험을 막기위해 현실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는 트레스젠더가 원하는 학교에서 공부를 할수 없게 된다면, 그것이 훨씬더 위험한 일이 아닐까요. 미국의 유명한 여대인 웰즐리 대학, 스미스 칼리지 대학등은 트레스젠더 입학이 가능합니다. 법적으로 성별이 정정된 트레스젠더 입학은 너무 당연하게 여겨지고, 대학에 트레스젠더 여성의 입..
여성도 군인으로 북무 하도록 환경이 잘 갖춰져 있을까 앞서 설명한 대로 한국은 국민 개병제 국가이므로 병역법만 개정하면 여성이든 남성이든 대한민국의 모든국민은 만18세 이상이 되면 신체검사를 받고 군 복무를 하는 것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이런 법 개정을 하려면 먼저 국방부가 신체검사 기준을 새롭게 만들고, 군대 내의 시설또한 남여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보완해야 합니다. 여성도 군대생활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군에 입대할 수 있을테니까요. 여군을 구대의 꽃이라 부르면서 군인이 아니라 여성으로 대하거나, 여성에게 어울리는 역할이 따로 있는 양 특정 업무만 수행하도록 한정하거나 승진에 누락시키는 성차별이 없어야 합니다. 또 군대 내 성폭력이 사라져야 안전하게 군 생활을 할 수 있겠지요. 그래서 지금은 과연 구대가 여성도 군인으로 복무하게 할 준비가 ..
성평등 이슈는 인권의 문제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태어났으며, 존엄한 존재입니다. 인권은 그런 믿음을 담은 표현 입니다. 그런데 지난 역사를 돌이켜 보면 아주 오랫동안 여성은 남성이 아니라는 이유로불이익과 차별을 받았습니다. 18세기에 인권이라는 개념이 생기면서 성별에 따른 차별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도 점차 활발해졌습니다. 우리나라에 성평등을 위한 적극적 노력이 국가적 차원에서 시작된 것은 1990년대 중반입니다. 그때부터 채 30년이 안되는데 근래 성차별보다 역차별이 더 심하다는 이야기가 흘러 나오기도 합니다. 주변에서 남자만 군대 가는건 역차별이야. 라는 말을 들어 보았을겁니다. 대한민국 국적의 남자라면 병역의무가 있어서, 누구나 만 18세가 되면 신체검사 후 판정에 따라 군 입 입대를 합니다. 한창 공부하거나 일해야 하는때 군..
인간, 동물, 자연 모두가 하나로 연결된 원 헬스 인간만 생각하는 접근법 으로는 신종 감염병에 대응 할 수 없습니다. 인간과 동물 그리고 자연환경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원 헬스(One Health) 개념이 필수 입니다. 생태계 전반에 대한 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지요. 인간만 생각해서도 안되고 동물만 생각 해서도 않됩니다. 또 이런 고민에 과학자만 참여해 답을 얻을 수도 없습니다. 시민사회와 정부는 물론이고 과학계 만이 아니라 다양한 학계가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이를 일컬어 다학제적 접근이라 합니다. 바로 이것이 원 헬스 개념의 핵심입니다. 인간이 어떤 결정 및 행동을 할때 그것이 동물과 자연환경에 미칠 영향까지 충분히 생각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사실 이것은 결코 쉽지않은 일입니다. 매우 많은 요소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예기..
코로나19로 다시금 드러난 기후 위기의 위험성 2020년 한 해를 뒤흔든 전 세계적 사건이 있습니다. 코로나19 펜데믹 입니다. 신종 감염병의 등장은 당장 우리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문제 입니다. 치료를 하려 해도 약이없고 예방하고자 해도 백신이 없는 상태에서, 즉 무방비 상태로 큰 혼란을 격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감염병의 유행 역시 기후 위기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기후 변화에 따른 생태계의 교란이 우리가 이전에 본적없는 감염병을 불러올수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세상에 나오기 전 부터 많은 전문가가 이를 경고 해 왔습니다. 코로나19가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를 휩쓸기 10여년 전인 지난 2009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김동진 당시 선임 연구원은 기후변화로 날로 증가하는 기후변이성이 매게체에 의한 전염성 질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라고 지적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