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386)
상상의 위력 1 (The Power of Imagination) 상상의 위력 1The Power of Imagination소위에서 소장까지 단 6년1923년 1월 23일 평안북도 용천에서 태어나 2012년 8월 3일 유명을 달리한 분이 있다. 우리 아이들은 미국 우리 동네에 살던 할아버지로 어렴풋이 기억할 것이다. 장도영(張都暎)은 신의주 고등보통학교를 마치고 일본 도요대학 사학과를 마치고 일본군 장교로 복무했다. 해방 후 귀국하여 모교인 신의주동중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다 공산당의 탄압이 시작되자 남으로 내려왔다. 군사영어학교에 다닌 후 1946년 소위로 임관했다. 한국동란을 마치고 1952년 29세로 소장 임관을 하고 1954년 별 둘을 달고 중장 진급을 했으니 기구한 한국 역사 속에서 승승장구한 군인이었다. 장면 내각에서는 육군참모총장이었다. 5·16 군사 정..
인간의 개념 변화 (A New Concept of Human Being) 인간의 개념 변화A New Concept of Human Being 그 형에 그 아우라고, ‘멋진 신세계’를 쓴 Aldous Huxley의 친형 Julian Huxley는 생물학자로서 1957년 트랜스휴먼이란 말을 제일 먼저 사용했다. 물론 기술을 통해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존재라는 의미는 아니었다. 트랜스휴먼이 무엇인지 알려면 먼저 포스트휴먼을 알아야 한다. 일부 과학자들은 인간이 영생을 얻을 날이 멀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인간 게놈(genome) 지도가 완성되고, 인공장기, 이식수술도 날로 발전하고 있다. 심지어 뇌의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다른 신체에 저장, 복구할 가능성까지 논란되는 현실이다. 노화된 기관을 교체하거나 뇌 속의 기억을 새 신체에 다운로드하여 영원히 산다면, 어떻게 될까? 영생이냐 ..
친절은 쿨한 일이다. (It is Cool to be Kind) 친절은 쿨한 일이다.It is Cool to be Kind 친절(親切)은 윤리적 특성으로 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로 표시되는 행동이다. 흔히 덕으로 여긴다. 문화, 종교, 철학 모두 그 가치를 귀하게 여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에서, 어떤 대가도 아니고, 도움이 자기 이익이 아니라, 필요로 하는 상대의 유익을 위해 도움이 되는 것"이라 정의한다. 니체는 친절과 사랑을 인간관계에서 가장 치유적인 약초로 간주했다. 지금은 전근대적 존재로 여겨지지만, 중세 기사도 중 하나이며 품격 있는 귀족의 의무(노블레스 오블리주, Noblesse Oblige)로 간주된다. 탈무드에도 친절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라고 유대인들을 가르친다. 선비 정신과도 상통한다. 선비는 한자 사(士)와 같은 뜻을 갖는다. 어원적으로 보..
현생인류의 다음은? (The Next of Human) 현생인류의 다음은?-The Next of Human 생명공학, 유전공학, 줄기세포, 복제기술, 분자-나노기술을 활용해 인간의 노화를 방지하고 인간의 지적, 육체적, 심리적 능력을 증진시켜 인간능력을 진화시킨다는 트랜스휴먼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미 2006년 당시 과학기술부총리의 말은 한국에서도 트랜스휴먼은 이미 공상이 아니라 정책임을 시사한다. 트랜스 휴먼이란 쉽게 말하자면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 또는 기능이 보통의 인간의 한계에서 벗어나 좀 더 오래 살고 좀 더 건강하고 또 지적능력이 뛰어나게 되는 것, 또는 그것을 트랜스 휴먼이라고 한다.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는 원인(猿人) 원인(原人) 구인(舊人)의 생물학적 진화를 거쳐 4만~5만 년 전 등장..
궤도 엘리베이터 (Space Elevator) 궤도 엘리베이터Space Elevator 무너지지 않는 건물, 초경량차는 물론 가능해진다. 2000년 NASA 과학자들은 적도에 지구 궤도까지 올라갈 수 있는 거대한 엘리베이터 건설 연구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우주 엘리베이터란 지구상에서 우주에 떠있는 35,786km 정지궤도까지 케이블을 연결하여 우주정거장 부품과 화물, 관광객 등을 실어 나른다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계획의 케이블을 가리키는 것이다.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우주 엘리베이터를 건설하면 우주로 나들이를 가기가 아주 쉬워질 것이다. 물리학자 '브라이언 콕스(Brian Cox)'에 따르면 문제는 양산체제로 생산비용을 줄이는 것과 엘리베이터를 움직이는 에너지인데, 이 분야는 별도로 핵융합 기술분야에서 답이 나오게 될 것이라는 예측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