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387)
꿈을 실현하는 법 (How to Make Your Dreams Come True) 꿈을 실현하는 법How to Make Your Dreams Come True 거울은 차갑고 냉정하다. 세상과 자신은 거울에 비친 것과 같다. 세상과 자신의 모습을 바꾸기 위해 거울을 깨뜨려봐야 아무 소용이 없다. 마음에 안 든다면 거울은 가만히 놔두고 자신의 모습을 바꾸어야 한다. 마음이란 거울은 다르다. 꿈을 자주 비추어보면 닮아가게 된다. 꿈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마법은 없다. ❶ 명확한 목표 설정, ❷ 생생한 시각화, ❸ 감정 이입, ❹긍정적 확신이 꿈을 현실로 바꾸는 비법이라고 네빌 고다드(Neville Goddard, 1905년 ~ 1972년)는 강연하고 다녔다.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자신을 데려가는 상상의 위력은 대단하다. 1970년대 후반 중령으로 동두천에 살았던 주한 미군 콜린 파월(Coli..
천재 (Genius) 천재Genius 고대 로마에서 천재는 안내자나 수호신을 의미했다. 천부적인 재능으로 보통사람과는 다른 존재로서 신격화했다. 천재(Genius)라는 말은 라틴어 'Genius Loci, 땅을 지키는 수호신'에서 유래한 것이다. 천재는 놀라운 이해력과 추론 능력을 가졌기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재능을 보이며 신동이라 불리는 경우도 있다. 정확히는 '남이 생각하지 못하는 것을 생각해 내는 사람' 또는 '남이 발휘하지 못하는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을 뜻한다. 1983년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 교수는 '다중지능이론'을 주장했다. 저서 '마음의 틀(Frames of Mind)에서 인간의 지능은 ■ 언어 ■ 음악 ■ 논리수학 ■ 공간 ■ 신체운동 ■ 인간친화■ 자기 성찰 ■ 자연친화 ■ 종교적 능력..
씀씀이 주의 (Keep an Eye on Spending) 씀씀이 주의Keep an Eye on Spending 신구 세대의 보편적 차이 중 하나는 씀씀이다. 신용 카드카드가 경쟁하다 보니 초과 지출을 부추기고 마이너스 한도가 생겨 돌려 막기와 카드론이 사회적 골치다. 북미에는 주로 입출입이 자유롭고, 각종 공과금이 스쳐 지나가는 계좌(Checking Account), 특정 용도를 위하여 묻어두는 저축성 계좌(Savings Account) 두 가지가 있다. 신용카드를 사용하면 높은 수수료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수표는 수수료가 없다. 수표(체크)는 계좌이체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사라지지 않는 신용 기반의 미국 문화 중 하나다. 20세기 유물로 사라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세금납부, 임금 지불, 물건 대금, 부동산 대금/수수료 지불 등 많은 곳..
세계 최고 IQ 국가 한국 (The Country with the Highest IQ) 세계 최고 IQ 국가 한국The Country with the Highest IQ 2007년 11월 "똑똑한 한국인들 안녕'이란 글을 올렸다. 그해 스위스 취리히 대학의' 각국 국민소득 성장에 대한 국민 I.Q. 연관관계'를 보고서에 세계 최고의 아이큐는 한국이 1위였다. 나는 아마도 1. 한글의 우수성, 2. 높은 교육열과 높은 인구밀도, 3. 한국의 지세와 기후, 4. 한국의 전통문화를 그 이유로 짚었다. 지능 지수인 IQ(Intelligence Quotient)는 지능의 일부분을 표준점수로 수치화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테스트 평균 결과가 100으로 산출되도록 설계된다. '국제 IQ 테스트(International IQ Test)'의 2023년 동일한 테스트를 치른 전 세계 115개국 1,691,740..
그래서 행복이란? So, How would you define happiness? 그래서 행복이란?So, How would you define happiness? 물리학 분야에서 과학적인 바이오센서를 통해 도파민, 세로토닌 측정 등으로 인간의 행복에 대한 연구를 하여 행복지수(GDH)를 구하는 학자도 있다. 행복과 불행은 번갈아가며 온다. 떄로는 행복의 원인이 시간이 지나며 불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행복만 있는 삶도 불행만 있는 삶도 없다. 행복 속에서도 불행이 있고, 불행 속에서도 행복이 있다. 추구한다고 행복해지지 않는다. 불교/유교에서는 지나친 행복 추구는 오히려 욕망으로 해석해 부정적으로 인식한다. 고대 인도에서는 욕망(Kama), 재산(arta), 의무(harma)), 해탈(moksa)을 네 가지를 꼽았다. 유교에서는 수(壽, 장수), 부(富, 재산), 강녕(康寧, 심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