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383)
천재 시리즈 부록 4 (Creative Genius) 천재 시리즈 부록 4Creative Genius창의 천재 5가지 축의 50가지 사례 모음 요약 1█ 미래에서 현재를 돌아보기(Future back):1. 끊임없는 호기심과 관점에 영감을 받아, 더 나은 미래를 창조하기 위해 남다르게, 더 잘, 더 깊이 통찰하게 라는 창의적 재능. 레어나르도 다 빈치 2. 시간 여행과 공백을 통해 함께 미래 세계를 탐험하여 최고의 기회 포착. '버진 갤럭틱' 우주선 3. 일과 삶에 대한 새로운 사고방식의 창의적 마인드는 성공의 새로운 통화. '닌텐도' 게임 디자이너 '미야모토 시게루(宮本茂) 4. 시장을 변화시키고 지죽을 흔드는 변화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엄청난 의미. 인도의 '아라빈드 아이 케어(Aravind Eye Care)의 새로운 비전 5. 여성과 노인, 유전학과 ..
천재 시리즈 부록 3 (Creative Genius) 천재 시리즈 부록 3Creative Genius창의 천재 핸드북'창의 천재'는 기업 리더를 위한 혁신 핸드북으로 천재 시리즈 중 하나다. 시간과 공간. 유전학과 로봇공학. 교육과 패션. 어떤 분야든 상상력이 가능성의 한계를 정한다. 미래는 스스로가 창조할 수 있다. 우리 시대의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될 수 있을까? 대부분 아이디어는 점진적이고, 빠르게 모방되고, 관습에 의해 질식한다. "미래에서 오늘을 되돌아보는" 사고방식은 가능성을 확장하여 오늘 새로운 미래를 창조하도록 만든다.최상의 아이디어는 모두 같은 것을 보지만, 다른 생각을 해내는 창의적 사고다. 새로운 것은 주로 주류가 아닌 주변에서 발생한다. 획기적인 해법은 최상의 아이디어를 실용적이고 유용한 개념으로 융합하는 과정을 통해 나타난다. 지금..
천재 시리즈 부록 2 (Creative Genius) 천재 시리즈 부록 2Creative Genius세렌디피티와 젬블라티니'세렌디피티'의 어원은 세렌딥(스리랑카의 이름)이다. 한 임금은 3 왕자들을 시험해 보고 세상경험을 시켜주기 위해 왕국에서 쫓아내었다.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던 중 어떤 사람이 혹시 낙타 한 마리를 보지 못했느냐? 질문을 받았다. 마침 막 지나간 흔적을 보았기에 낙타 주인을 놀려 주었다. 첫째는 "낙타가 한쪽 눈이 멀었나요?" 물었다. 둘째는 "한쪽 이가 빠지고 없지 않나요?" 물었다. 셋째는 "절름발이가 맞지요?"라고 물었다. 소상한 묘사에 낙타주인은 믿지 않을 수 없어 충고에 따라 3 형제가 왔던 길을 20여 마일이나 되돌아갔다. 그러나 낙타를 발견하지 못했다.운이 없게도 형제들은 다음날 낙타주인과 다시 마주쳤다. 좀 더 이야기를 들어보..
천재 시리즈 부록 1 (Creative Genius) 천재 시리즈 부록 1 Creative Genius 재능과 우연한 행운피터 휘스크의 고객/마케팅/창의/사업 4부류의 천재 시리즈를 ● 미래에서 현재를 되돌아보기(Future back) ● 세계관(World views) ● 규칙 깨기(Rule breaking) ● 열고 닫기(Open and close) ● 창의적인 융합(Creative fusions) ● 열린 혁신(Open innovation) ● 점진적 부양(Trickling up) ● 미적 디자인(Aesthetic design) ● 시장의 소용돌이(Market vortex) ● 사회적 기업가 정신(Social entrepreneurs) 등 핵심 요약으로 소개한 바 있다. 그중 '창의 천재'에 대해 추가적인 내용을 다루어 본다.고대 그리스 수학자/물리학자..
자이르가닉 효과 4 (The Zeigarnik Effect) 자이르가닉 효과 4The Zeigarnik Effect█ 3 학습과 기억역 증진을 위한 활용생산성을 넘어, 학습과 정보 기억에 큰 영향을 미친다. 몇 가지 전략을 소개한다.● 간격 반복(Spaced Repetition) 기법: 점점 더 많은 간격을 두고 학습정보를 검토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기억에 중간중간 '미완료' 상태를 만들어 뇌가 정보를 계속 처리하도록 한다. ● 테스트(Testing) 효과: 연습 시험, 퀴즈를 치르면 단순히 자료를 다시 공부하는 것보다 장기 기억력을 향상해 준다. 시도가 실패하면 마음에 '미결 과제'가 생겨 지속적인 참여 동기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 증분 학습(Incremental Learning): 복잡한 주제를 더 작고 다루기 쉬운 조작으로 나누면 이해와 기억력을 향상할 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