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389)
소비자 미디어 행동 11 (Sexual Minority) 소비자 미디어 행동 11 Sexual Minority ■ LGBT+ 소비자와 함께 메타버스 레벨 업메타버스에 대한 과대광고는 사그라들고 막대한 투자를 했던 기업들도, 기대에 부풀었던 일반인들도 한발 물러섰다. 그러나 Minecraft, Fortnite, Roblox와 같은 "프로토 메타버스"는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일반 참여는 2020년 이후 28% 증가했다. 특정 인구통계, 즉 LGBT+ 소비자의 훌륭한 소통 공간이기도 하다. 게임 공간과 '프로토 메타버스'는 국가에 따라 차별 수준은 큰 차이가 있지만, 소외된 LGBT+ 소비자를 위한 안전한 공간이다. ■ 평균 Z 세대에 비해 젊은 LGBT+ 소비자는 Animal Crossing 같은 커뮤니티 중심 게임을 플레이할 가능성이 더 높다. 더 나은 ..
리더십과 사람 관리 0 (Leadership & Managing People) 리더십과 사람 관리 0  Leadership & Managing People■ 6가지 일반적인 리더십 유형과 적용 결정 방식리더십은 상황의 변화, 조직 역학 변화, 사업 주기 전환 등 다양한 상황에 스타일을 맞추어 적용한다. 하지만, 거래적, 변혁적, 관료적, 자유방임적 등 리더십 이론의 유형과 자신에게 적합한 스타일을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 주로 많이 다루어졌다. 그러나 감성 지능 연구의 대가인 심리학자 다니엘 골먼(Daniel Goleman)에 따르면, “훌륭한 리더가 되려면 상황에 따라 다른 접근 방식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상황과 팀 구성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6가지 리더십 유형을 식별했다.2000년 Harvard Busines..
팬덤 속의 찐스타 (Genuine Star in the Fandom) 팬덤 속의 찐스타Genuine Star in the Fandom"플라스틱 팬덤(Plastic Fandom)은 특정 분야를 열정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문화현상을 말한다. 팬덤 말 자체가 지나친 광신을 뜻하는 말이다. 스포츠에 '플라스틱 팬'도 있다. 그 특징은 ① 스타가 이적하면, 응원하는 팀을 바꾼다. ② 팀을 응원하지만, 팀에 대해 아는 것이 없다(역사/문화/응원가 등). ③ 돌연 좋은 성적을 계속 거두는 팀이 생기면 팬을 자처한다. ④ 유명 기업이 후원하자 팬으로 나선다. ⑤ 응원하다 하락세 또는 리그 강등이 되자 더는 관심이 없어진다. ⑥ 팬이라고 자청하지만, 경기/중계를 외면하고 최근 성적도 잘 모른다. ⑦친구들이 응원하자 덩달아 응원한다. 이정우 이화여대 국제사무학과 초빙교수의 설명이 이와 비슷하..
소비자 미디어 행동 10 (Trust & Affinity) 소비자 미디어 행동 10     Trust & Affinity ■ 베이비부머 세대. 온라인에서 브랜드 신뢰와 친밀도 구축브랜드가 직면한 또 다른 과제는 신뢰 구축이다. 온라인 리뷰, 미디어, 소셜 플랫폼 등 소비자는 현재 브랜드의 의도에 관심을 기울인다. 특정 그룹의 경우 더욱 그렇다. 베이비붐 세대, 아시아계 미국인, LGBT+ 커뮤니티 모두 평균 소비자보다 기관/기업 신뢰도가 낮다. 온라인 인구는 더욱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브랜드는 노년층 및 다문화 소비자와 조화를 이루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 종종 간과되는 집단의 하나는 베이비붐 세대다.Z세대보다 온라인 쇼핑을 더 많이 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소비력을 갖고 있지만 광고에서 자신들이 덜 반영된다는 느낌을 받는다. 궁극적으로 수익성도 높고 점..
조직 규모와 리더십 차이 2 (5 Leadership Skills) 조직 규모와 리더십 차이 2     5 Leadership Skills 팀/조직의 규모가 변하면 리더십도 당연히 달라진다. 리더는 5가지 차이를 잘 이해하고 적응해야 계속 성공해 나갈 수 있다. ■ 직접 관리에서 간접 관리로:5명이면 각 개인의 세부 업무 사항, 강약점, 심지어 즐기는 취미까지 알게되어 개인적 관계가 돈독해진다. 30명이라면 모두 직접 관리할 수 없다. 매주 30분 씩 일대일로 대화해도 일주일에 15시간이다. 작업마다 후속 조치를 취한다면 다른 일은 거의 못 한다. 생각도 동시다발이 되어 전체 팀을 잘 지원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 중간 관리자를 두고 일하게 된다. 하지만 자칫 일선 현장과는 멀어질 수 있다. 전체 성과에 대해 책임은 여전하해도, 세부 사항에 관여할 수 없다. 의사 결정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