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383)
안성과 아산, 예산에서의 소담소담 안성의 서일농원과 솔리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화봉리에 위치한 농원으로서, 1983년부터 자리한 서일농원은 3만 평 규모이며, 3천여 개의 옹기들이 즐비하게 나열되어 있습니다. 장의 원료인 콩과 고추를 재배하는 밭이 있으며, 전통 장의 맥을 잇고 연구 개발하는 곳이 있습니다. 서분례 서일농원 원장은 전통식품은 전래 방법대로 유지하면서 대를 이어 전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면서 전통을 고집하시는 분 입니다. 일본 나또보다 효소 단백질이 풍부한 냄새 안 나는 생 청국장을 만들어 특허 취득하였습니다. 3천여 개의 옹기 속에서 익어가는 장맛도 일품이지만, 많은 장독대가 규칙적으로 진열된 모습이 예술품처럼 멋있고 사계절 예쁜 꽃과 장승과 솟대는 물론 500여 그루의 소나무가 잘 가꾸어진 농원입니다. 농원안에 “솔리”라..
기후변화로 위협받는 한국인의 밥상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변화로 이어지고, 생태계의 변화는 당장 인간의 관점에서는 식생활의 변화를 의미 하기도 합니다. 정부 각 부처 및 연구기관이 모여 펴낸(한국 기후변화 평가 보고서 2020)은 어떤 변화가 나타날 지를 구체적 수치로 보여줍니다. 한국인은 밥심으로 산다고 하지요. 실제로 쌀은 우리 식생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21세기 말, 국내 벼 생산은 25% 넘게 떨어진다 라는것이 전문가들의 연구 결과입니다. 아니 날이 더 더워지면 벼가 빨리 쑥쑥 자라나 좋지않을까 하고 생각 할 수도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가 않습니다. 벼가 지나치게 빨리 자라거나 과도하게 자라면서 우리가 먹을 수 있는 정상립(정상적인 쌀알)의 비율은 현재의 70% 에서 20% 대로 도리어 낫아집니다. 땅에서 나는 곡물만이 문제가 ..
'이상이 일상'이 되다 극한 기상현상이 빈번해 지고 이상이 일상이 되어버린다면 당장 우리삶의 질이 악화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변화는 누군가 에게는 그저 조금 불편한 일 일수도 있겠지만, 또 어떤이들 에게는 생존과 직결된 문제 일수도 있습니다. 기후 위기가 생계와 연관되는 문제로 여겨질 수 있는겁니다. 모두가 "기후변화를 막아야 한다" "기후 문제가 심각하다" 라고 생각은 하지만 어떻게 막아야 할지, 얼마나 심각한 문제 인지는 제대로 인신하지 못하고 있는겄이 현실 입니다. 우리의 관심이 거기까지는 못 미치는 것 입니다. 기상과 기후조차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걸 보면 아직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깊지 못한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초대 국립 기상과학원장을 지낸 조천호 박사는 기상과 기후의 차이를 이런 비유로 설명합니다. ..
기후 위기가 북극곰만 힘들게 하는 건 아니다 기후 변화나, 기후 위기라는 단어와 함께 가장먼저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바로 북극곰의 모습입니다. 그리고 이런 문구도 생각날 것입니다. "얼음이 녹고 있어요!" "북극곰을 살려주세요!" 우리나라는 최신 유행이나 기술등 변화에 신속히 대응 한다는 평판을 듣습니다. 하지만 유독 기후변화 문제에서는 1990년대에도, 2000년대에도, 2010년대에도, 2020년대에도 별로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기후변화, 기후위기 이슈는 여전히 북극곰을 걱정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겁니다. 우리나라 기후변화를 인신하고 국가 차원에서 처음 행동에 나선것은 언제일까요. 1990년에도 '지구 온난화' '이산화 탄소 배출규제' 라는 키워드는 언론에서 쉽게 찾아볼수 있었습니다. 1990년 10월, 탄소배출 규제를 위한 국제협약의..
노동도 노동자도 상품이 아니다. 이 시스탬은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첫째, 식당주인은 인건비를 절약했습니다. 꼬박 꼬박 월급주며 배달원을 고용하지 않아도 되니까요. 둘째, 배달 노동자 들은 예전보다 더 많이 벌 기회가 열렸습니다. 정해진 월급을 받는게 아니라 자신이 일한 만큼 수수료를 받는 시스탬 이기 때문입니다. 셋째, 예전에는 비용문제로 배달 주문을 받지않던 음식점 들도 이제 그 방식을 이용하니 소비가가 그만큼 더 편리해 졌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집에서 편안히 배달받아 먹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 시스탬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사람들이 유명해 졌습니다. 언론에서 배달혁신 이라며 긍정적 평가를 해 주었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음식을 배달하다 다치는 노동자가 이전보다 많아졌고 심지어 목슴을 잃는 경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