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83) 썸네일형 리스트형 편리해진 소비자, 위태로운 노동자? 배달 오토바이가 자동차에 부딧히는 사고가 났습니다. 바닥으로 떨어진 배달원은 크게 다쳤습니다. 행인들이 구급차를 불러주어 배달원은 겨우 병원으로 이송 되었습니다. 배달 하려던 음식이 여기저기 흩어지며 거리는 아수라장이 되었습니다. 프라스틱 용기와 비닐봉지에는 000중국집 이라고 적혀 있었습니다. 평소 이 중국집의 단골이었던 누군가가 사고를 목격 하였고, 그가 얼마후 그 음식점에 가서 주인에게 배달원은 괜찮은지 물어보았습니다. 그런데 주인은 그런 사고가 있었는지도 모르고 있었습니다. 어떻게 이런일이 가능 할까요. 이 이야기는 소설(남한산성)과 (칼의 노래)등을 쓴 김훈 작가의 경험담 입니다. 작가는 산업재해로 사망한 노동자 들으ㅏ 안타까운 현실을 고발하는 글을 많이 쓰고 배달 노동자들의 집회현장에도 자주 .. 인터넷은 결코 망각하지 않는다 디지털 장의사 라는 직업이 있어요. 개인이 인터넷에 남긴 흔적을 찾아서 지워주는 일을 하는 사람이지요. 가족중 누군가가 사망했을때 다른 가족이 그의 은행 통장이나 보험서류를 확인하고 해지작업을 하듯 요즈음은 고인의 이메일이나 SNS계정, 그가 포함되어 활동하던 커뮤니티의 글이나 댓글을 삭제하고 정리 할 필요가 생겨났어요. 그래서 이 일을 전담해 주는 직업이 새로 생겨난 것 입니다. 그런데 꼭 누군가가 사망하지 않더라도 평소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디지털 장의사를 찾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주로 디지털 범죄의 피해자들 입니다. 잘못한 사람은 따로 있는데 인터넷 아래서 이루어 지는 범죄가 십게 적발되지 않고 가해자를 찾아내기도 어렵기 때문에 상처를 받은 사람이 자신의 돈과 시간을 들이고 있는 겁니다. 특정.. 사생활 침해에 둔감해 지는 사람들 너무많은 사람이 사생활을 침해하면 그 행위가 대수롭지 않게 여겨 지기도 합니다. 여러분이 자료 조사를 할 때도 비슷한 경우가 있을겁니다. 예를들어 특정 연예인을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수만장의 사진이 떠오릅니다. 그 사진에는 모두 저작권과 초상권이 있습니다. 찍은 사람과 찍힌 사람이 허락해야만 사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도 그 문제를 신경쓰지 않고 그 사진을 복사해서 쓰거나 이리저리 옮기기도 합니다. 어떤 행동이 옳거나 그르다는 기준이 모호해진 것은 인터넷 세상에서 정보가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누구나 검색해서 볼수 있는것을 누구나 마음대로 사용해도 되는것 으로 착각 하는것 입니다. 그래서 요즘 디지털 공간에서는 개인 정보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사람들 때문에 개인이 위협을 받는 일이 자주 일어나고.. 이 사진 제 동의를 받고 올리셨나요. 서랍장 한곳에 모아둔 두꺼운 사진첩을 꺼내어 자녀의 어린시절 사진을 찾아보면서 추억에 젖는 부모의 모습, 영화나 드라마에서 자주 등장하지요. 그런데 앞으로는 이런 장면이 사라질 지도 모릅니다. 이제 사진은 사진첩이 아니라 컴퓨터 안에 보관 되니까요. 컴퓨터가 꼭 데스크 탑이 아니어도 되죠. 요즘 부모님들은 과거의 자녀 사진을 자신의 SNS에서 찾으니까요. 그때 한번 물어보세요. 이 사진 제 동의를 받고 올리셨나요? 인스타그램에 육아를 입력하면 수백만장의 게시글이 등장합니다. 이처럼 육아생활을 적극적으로 공유하는 부모를 세이런츠(sharents) 라고 합니다. 공유하다란 뜻의 share 와 부모를 쯧하는 parents 의 합성어입니다. 지금 청소년들의 보호자 대부분은 이십대 시절부터 디지털 장비를 다루는데.. 똑똑한 알파고. 막말하는 챗봇데이 인간과 바둑 대경을 펼쳐 압승을 거둔 인공지능 알파고를 기억하시지요. 사람이라면 수천 년 동안 하루도 쉬지않고 외워야만 머릿속에 넣을 수 있는 분량의 기보를 몇시간이면 암기하는 알파고는 바둑의 가장 적합한 수를 인간보다 월등하게 잘 찾았지요. 정망 대단합니다. 알파고가 바둑을 잘 둔것은 그전에 인간들이 바둑을 둔 사례를 전부 데이터로 입력하여 저장해 두었기 때문 입니다. 즉 인공지능이란 기계가 독창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말하는게 아니라 사람들의 일상을 빅데이터로 관리해 최적화된 값을 찾아낸것을 가르킵니다. 바둑처럼 단순한 오락이나 스포츠에ㅔ 인공지능이 개입한다면 그 덕택에 사람들도 오락, 스포츠 실력이 늘거예요. 하지만 인공지능이 빅데이터로 삼는 사람들의 일상 자체가 언제나 정의롭고 평등하지는 않다는 점을.. 이전 1 ···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